UX 27

UX 디자이너를 위한 Lean Prioritization: 효율적인 디자인 의사결정 전략

Lean Prioritization Framework 위 글은 제품 관리에서의 우선순위 설정과 그 중요성, 그리고 Lean Prioritization Matrix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글의 주요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1. 제품 관리에서의 우선순위 설정이란? 제품 관리에서의 우선순위 설정은 여러 제약 조건 하에서 작업, 아이디어, 요청의 중요성을 평가하여 가장 빠르게 고객 가치를 제공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2. 우선순위 설정의 중요성 제품 관리자는 다음에 무엇을 구축할지 결정하지만 이 작업에는 여러 의견이 포함됩니다. 강력한 의견도 중요하지만 이를 제품 전략에 묶어야 합니다. 우선순위 설정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주관성에 의존하거나 이해관계자와의 합의에 어려움을 겪을..

서비스 디자인 도구_1_01.04

어제는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실기수업을 했어서 포트폴리오 예시와 각각 개인 포트폴리오에 대한 짧은 정보만 전달하고 수업이 마쳐져서 크게 적지 않았답니다 :) 오늘은 서비스 디자인 도구에 대해 수업을 들은 날이에요 그래서 서비스 디자인 도구에 대해서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여러가지 설명을 주셨지만 제가 잘 아는 중요한 개념들은 앞에서 많이 다뤘기에 제 기준 생소한 도구들을 기준으로 다뤄보았어요 :) Stockholder map 서비스 디자인에서의 Stockholder map은서비스의 이해관계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서비스의 주주에는 고객, 직원, 공급업체, 투자자,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이해관계자 구성을 이해하고,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각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UI)의 아이콘학 기초 [Fundamentals of iconography in user interface design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UI)의 아이콘학 기초 Fundamentals of iconography in user interface design (UI) Communicating diverse concepts with good symbols 아이코노그래피란? 아이코노그래피는 특정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기호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이콘은 이미지 위에 글을 쓰는 역할을 합니다. 아이코노그래피의 중요성 아이코노그래피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요합니다. 잘 디자인된 아이콘은 사용자의 시선을 사로잡고 즉각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 상호 작용 속도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노그래피는 인터페이스에 개성과 즐거움을 더할 수..

2024년 UX/UI 디자인 트렌드

UX/UI Design Trends Going Into 2024 매년 새로운 디자인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단순히 멋져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어 해당 경향을 “따르도록” 만듭니다. 이러한 디자인 경향 중에는 실제로 현명하고 기능적인 것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서부터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증가시키는 데까지 다양합니다. 이제 인터넷을 점령하고 있는 몇 가지 오래 남을 디자인 경향을 살펴보겠습니다! Bento Box 벤토 박스는 일본의 도시락 문화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박스는 음식을 꽤 조직적인 형식으로 보관하고 물건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잘 알려져 있습니다. 누가 이것을 고안했는지 알 수 ..

언제 애자일 방식을 사용하고 언제 린방식을 사용해야 할까?

When to Be Agile and When to Be Lean 언제 애자일 방식을 사용하고 언제 린방식을 사용해야 할까 기업 세계에서 널리 퍼진 오해 중 하나는 애자일 방법론이 모든 효율성 문제에 대한 만병통치약이라는 믿음이다. 이러한 관점은 애자일이 운영 효율성 향상보다는 프로젝트의 발견 단계에 더 적합하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이러한 오해는 종종 잘못된 노력과 애자일의 역량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를 낳는다. 반대로, 일부 회사들은 발견 단계에서도 전통적인 관리 방식에 의존하여 이 단계에서 필수적인 혁신과 유연성을 무심코 저해한다. 이러한 오해의 근본 원인은 애자일과 린의 역할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있다. 애자일은 탐색적이고 적응적인 측면에서 탁월하지만, 린은 지속적인 개선과 효율성을 위한 프레임워크..

사용 시나리오 기반 모바일 앱 UX/UI디자인 및 기획 설계_12.21

안녕하세요! 루에요 오늘은 제가 오랜만에 이론수업을 듣고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던 내용으로 준비해왔어요~! 그중에서도 사용자 경험과 PM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는 이 두가지이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그러면 함께 이론을 시작해볼까요? 내용은 Flow chart와 Information Architecture에요 ✨Part 1. 플로우차트 1. 플로우 차트 소개 Flow chart는 프로세스나 시스템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의미합니다. 플로우 차트는 작업이나 프로세스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구로, 각 단계와 의사 결정 지점, 작업 흐름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작업이나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사용 용도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기획자(PM) 디자인 방법론2 (Design Method lecture)_12.15

오늘은 어제에 이어 디자인 방법론을 2차로 가지고 왔어요~! 어제는 제 기준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 방법론이었다면 오늘은 강사님께서 추천해주신 방법론 위주로 몇개 가지고 와보았어요~! 정성적 리서치의 기초라고 볼 수 있는 민족학적 방법론의 초석! 첫번째는 디자인 에스노그라피입니다 ✨디자인 에스노그라피 Design Ethnography [정의] 디자인 에스노그라피는 전통적인 에스노그라피 몰입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둘러싼 세계를 깊이 있게 경험하고 이해하여 사용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통찰을 얻는 방법을 말해요 직접 연구자가 이해하고자 하는 환경 안에서 사람들을 연구하는 것, 정성적 방법(상세한 관찰, 형식 없는 인터뷰, 문서 분석 등)을 토대로 하여 규정된 사회 시스템 안에서 사람들의 사회생 활과 ..

서비스 기획자(PM) 디자인 방법론1 (Design Method lecture)_12.14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침부터 추적추적 비가 내리는 하루였어요 다행히 온라인 수업이라 집안에서 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 꿉꿉하지 않아 좋았어요☺️ 오늘은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에 대해 소개할까 해요 오늘 배웠던 것들 중에 제가 대학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배운 방법론을 짚어 몇개를 포스팅 할까 합니다! 부차적으로 괜찮다 싶으면 추가로 다른 방법론도 같아 포스팅 할게요! ✨첫번째로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이에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유사한 특성이나 속성을 공유하는 그룹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론으로 주로 마인드 맵, 클러스터링, 아이디어 정리에 사용되며, 비슷한 아이디어나 개념을 묶어 관계를 시각화를 한답니다! 방법은 인터뷰, 리서치 자료, 아이데이션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계성이 있거나 이해관계가 얽힌 개념들..

아마존 워킹 백워드5 (Amazon Working Backward)_12.13

안녕하세요 루입니다 :) 오늘은 지난회차에 이어서 전체적으로 수업한 내용을 정리하는식으로 발표를 하는 날이었어요 흔히들 문서화작업이라고 불리는 부분이죠! 여기서 잠깐! 문서화가 왜 필요할까요? 문서화 작업은 우리가 나중에 포트폴리오를 만들거나 수정할 경우 해당 포트폴리오는 집약된 핵심만을 적어서 내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리마인드 개념으로 중요하고 기록해야 하는 내용들을 한번 핵심을 짚어 맥락에 맞춰 정리하는 과정을 문서화 작업이자 문서화의 목적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그래서 오늘은 문서화 작업을 진행한 후에 해당 작업물을 토대로 발표까지 진행하였답니다! 오늘 제가 맡은 부분은 기획한 서비스 부분의 Think Big 부분의. PR과 GUI 부분이었어요!..

아마존 워킹 백워드4 (Amazon Working Backward)_12.12

오늘은 어제 진행한 인사이트와 HMW를 기준으로 유사한 개념으로 묶은 후 Dot Vote를 진행했어요! 저는 다른것보다 유사개념으로 묶는게 좀 많이 어려웠던 것 같아요 그래서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Three lenses of amazon을 거쳐 Think big matrix를 다음과 같이 진행했어요 저희 팀은 Just Do it보다 Think Big 위주로 나와서 해당 씽크빅 아이디어를 서비스 퀄리티 하향을 시켜서 아이디어를 가져가는 방향은 어떨까로 정리가 되었어요! 그래서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하단의 내용을 진행할 예정이랍니다! ✨PR 미래의 특정 시점의 이 제품이 출시가 된다면이 PR의 특징 미래 소식지, 미래 뉴스가 PR 20--년의 -월-일 이 뉴스가 출시 (육하원칙에 의해서 작성, 고객의 가치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