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3

사용 시나리오 기반 모바일 앱 UX/UI디자인 및 기획 설계_12.21

안녕하세요! 루에요 오늘은 제가 오랜만에 이론수업을 듣고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던 내용으로 준비해왔어요~! 그중에서도 사용자 경험과 PM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는 이 두가지이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그러면 함께 이론을 시작해볼까요? 내용은 Flow chart와 Information Architecture에요 ✨Part 1. 플로우차트 1. 플로우 차트 소개 Flow chart는 프로세스나 시스템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의미합니다. 플로우 차트는 작업이나 프로세스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구로, 각 단계와 의사 결정 지점, 작업 흐름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작업이나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사용 용도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기획자(PM) 디자인 방법론2 (Design Method lecture)_12.15

오늘은 어제에 이어 디자인 방법론을 2차로 가지고 왔어요~! 어제는 제 기준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 방법론이었다면 오늘은 강사님께서 추천해주신 방법론 위주로 몇개 가지고 와보았어요~! 정성적 리서치의 기초라고 볼 수 있는 민족학적 방법론의 초석! 첫번째는 디자인 에스노그라피입니다 ✨디자인 에스노그라피 Design Ethnography [정의] 디자인 에스노그라피는 전통적인 에스노그라피 몰입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둘러싼 세계를 깊이 있게 경험하고 이해하여 사용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통찰을 얻는 방법을 말해요 직접 연구자가 이해하고자 하는 환경 안에서 사람들을 연구하는 것, 정성적 방법(상세한 관찰, 형식 없는 인터뷰, 문서 분석 등)을 토대로 하여 규정된 사회 시스템 안에서 사람들의 사회생 활과 ..

아마존 워킹 백워드5 (Amazon Working Backward)_12.13

안녕하세요 루입니다 :) 오늘은 지난회차에 이어서 전체적으로 수업한 내용을 정리하는식으로 발표를 하는 날이었어요 흔히들 문서화작업이라고 불리는 부분이죠! 여기서 잠깐! 문서화가 왜 필요할까요? 문서화 작업은 우리가 나중에 포트폴리오를 만들거나 수정할 경우 해당 포트폴리오는 집약된 핵심만을 적어서 내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리마인드 개념으로 중요하고 기록해야 하는 내용들을 한번 핵심을 짚어 맥락에 맞춰 정리하는 과정을 문서화 작업이자 문서화의 목적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그래서 오늘은 문서화 작업을 진행한 후에 해당 작업물을 토대로 발표까지 진행하였답니다! 오늘 제가 맡은 부분은 기획한 서비스 부분의 Think Big 부분의. PR과 GUI 부분이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