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Archive/🌱 에이블런 체인저스 프로젝트

서비스 디자인 도구_1_01.04

_Lu_ 2024. 1. 4. 19:06
728x90

어제는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실기수업을 했어서 포트폴리오 예시와 각각 개인 포트폴리오에 대한 짧은 정보만 전달하고 수업이 마쳐져서 크게 적지 않았답니다 :)

 

오늘은 서비스 디자인 도구에 대해 수업을 들은 날이에요

그래서 서비스 디자인 도구에 대해서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여러가지 설명을 주셨지만 제가 잘 아는 중요한 개념들은 앞에서 많이 다뤘기에 제 기준 생소한 도구들을 기준으로 다뤄보았어요 :)

 


Stockholder map

서비스 디자인에서의 Stockholder map은서비스의 이해관계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서비스의 주주에는 고객, 직원, 공급업체, 투자자,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이해관계자 구성을 이해하고,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각 이해관계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서비스 디자인에서 Stockholder은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서비스의 이해관계자 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수립, 서비스 개선, 서비스 성과 평가 등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ockholder를 통해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가 각 이해관계자의 요구 사항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만약, 특정 이해관계자의 요구 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서비스라면, 해당 이해관계자의 불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주주지도를 통해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영향력이 높은 서비스라면,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개선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Stockholder은 서비스 디자인의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서비스의 이해관계자를 이해하고,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예시사례

 

  • 구글은 2019년부터 "서비스 이해관계자 지도"를 활용하여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서비스의 이해관계자를 고객, 직원, 공급업체, 투자자, 정부 등으로 구분하고, 각 이해관계자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여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 스타벅스는 2020년부터 "스타벅스 파트너 지도"를 활용하여 직원의 참여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직원을 이해관계자로 포함하여 직원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직원의 참여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Mood Board

서비스 디자인에서 서비스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무드보드는 이미지, 텍스트, 색상, 그래픽 등을 사용하여 서비스의 컨셉, 스타일, 감성 등을 표현하는 도구를 의미합니다.

 

서비스 디자인에서 무드보드는 다음의 세가지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곤 합니다.

  • 서비스의 컨셉과 방향성 정하기
  • 서비스의 디자인 요소 결정하기
  •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UX) 설계하기

 

 

무드보드는 서비스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비스의 컨셉과 방향성을 정하고, 서비스의 디자인 요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디자인에서 무드보드를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
  •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
  • 서비스의 제공 방식

무드보드는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예시사례

 

  • 로운 쇼핑몰을 디자인하는 경우, 무드보드를 사용하여 쇼핑몰의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무드보드에는 쇼핑몰의 인테리어, 조명, 색상 등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 새로운 모바일 앱을 디자인하는 경우, 무드보드를 사용하여 앱의 사용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무드보드에는 앱의 아이콘, 버튼, 레이아웃 등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은 서비스의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는 도구로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를 통해 서비스의 목표, 대상 사용자, 서비스의 가치 등을 전달합니다.

서비스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전달하기
  •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를 이해하기
  •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UX)을 설계하기

스토리텔링은 서비스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전달하고,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
  •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
  • 서비스의 제공 방식

스토리텔링은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예시사례

새로운 쇼핑몰을 디자인하는 경우, 스토리텔링을 사용하여 쇼핑몰을 방문하는 고객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찾고, 쇼핑을 즐기고, 새로운 경험을 하는 과정을 이야기할 수 있다.

 

 


Task Analysis Grid (업무분석그리드)

서비스 디자인의 Task Analysis Grid는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Task Analysis Grid는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단계별로 나누어 각 단계의 목표, 수행자, 필요 정보, 수행 방법, 예상 결과 등을 기록합니다.

Task Analysis Grid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기
  •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Task Analysis Grid는 서비스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고,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Task Analysis Grid를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
  •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
  • 서비스의 제공 방식

Task Analysis Grid는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반영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예시사례

 

  • 새로운 쇼핑몰을 디자인하는 경우, Task Analysis Grid를 사용하여 쇼핑몰을 방문하는 고객의 경험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쇼핑몰에 도착하여, 제품을 찾아보고, 결제하고, 쇼핑을 마치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모바일 앱을 디자인하는 경우, Task Analysis Grid를 사용하여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앱을 열고, 앱의 기능을 사용하고, 앱을 닫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Role Play(역할극)

 

서비스 디자인에서 역할극은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역할극은 실제 서비스와 같은 상황을 설정하고,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 직원, 관리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역할을 맡아 서비스를 경험해 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역할극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기
  •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 서비스의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역할극은 서비스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고,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역할극을 진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역할을 맡을 이해관계자
  • 역할극을 진행할 상황
  • 역할극의 목적

역할극은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 직원, 관리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실제 서비스와 같은 상황을 설정하여,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현실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역할극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여, 역할극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예시사례

 

  • 새로운 쇼핑몰을 디자인하는 경우, 역할극을 사용하여 고객이 쇼핑몰을 방문하는 경험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쇼핑몰에 도착하여, 제품을 찾아보고, 결제하고, 쇼핑을 마치는 과정을 역할극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모바일 앱을 디자인하는 경우, 역할극을 사용하여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앱을 열고, 앱의 기능을 사용하고, 앱을 닫는 과정을 역할극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Role script(롤 스크립트)

서비스 디자인에서 역할극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역할극의 진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역할극의 대본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를 역할극 대본 또는 역할극 시나리오라고 합니다.

역할극 시나리오는 역할을 맡은 이해관계자의 역할, 대화, 행동 등을 순서대로 기록한 문서입니다. 역할극 시나리오는 역할극을 진행하기 전에 이해관계자와 함께 검토하고 수정하여, 역할극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역할극 시나리오를 작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역할을 맡은 이해관계자
  • 역할극을 진행할 상황
  • 역할극의 목적

역할극 시나리오는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 직원, 관리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실제 서비스와 같은 상황을 설정하여,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현실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역할극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여, 역할극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예시사례

  • 새로운 쇼핑몰을 디자인하는 경우, 역할극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고객이 쇼핑몰을 방문하는 경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쇼핑몰에 도착하여, 제품을 찾아보고, 결제하고, 쇼핑을 마치는 과정을 역할극 시나리오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모바일 앱을 디자인하는 경우, 역할극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앱을 열고, 앱의 기능을 사용하고, 앱을 닫는 과정을 역할극 시나리오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Service Blueprint

서비스 디자인에서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서비스의 흐름과 상호 작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문서입니다.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고객의 경험서비스 제공자의 활동두 개의 가로선으로 구분하여, 서비스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서비스의 흐름과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 서비스의 성과를 평가하기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서비스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비스의 흐름과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작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
  •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
  • 서비스의 제공 방식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서비스의 대상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를 반영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제공 방식을 고려하여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예시사례

 

  • 새로운 쇼핑몰을 디자인하는 경우,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고객이 쇼핑몰을 방문하는 과정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쇼핑몰에 도착하여, 제품을 찾아보고, 결제하고, 쇼핑을 마치는 과정을 서비스 블루프린트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모바일 앱을 디자인하는 경우,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과정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앱을 열고, 앱의 기능을 사용하고, 앱을 닫는 과정을 서비스 블루프린트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