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Archive/🌱 에이블런 체인저스 프로젝트

서비스 기획자(PM) 디자인 방법론1 (Design Method lecture)_12.14

_Lu_ 2023. 12. 14. 23:21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침부터 추적추적 비가 내리는 하루였어요

 

다행히 온라인 수업이라 집안에서 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 꿉꿉하지 않아 좋았어요☺️

 

오늘은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에 대해 소개할까 해요

오늘 배웠던 것들 중에 제가 대학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배운 방법론을 짚어 몇개를 포스팅 할까 합니다!

부차적으로 괜찮다 싶으면 추가로 다른 방법론도 같아 포스팅 할게요!

 

✨첫번째로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이에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유사한 특성이나 속성을 공유하는 그룹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론으로 주로 마인드 맵, 클러스터링, 아이디어 정리에 사용되며, 비슷한 아이디어나 개념을 묶어 관계를 시각화를 한답니다!

방법은 인터뷰, 리서치 자료, 아이데이션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계성이 있거나 이해관계가 얽힌 개념들끼리 묶어 더 큰 상위 개념으로 만들어 올리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방향성을 잡아가는 것에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 

 

✨두번째는 사례연구 입니다!

사례연구는 특정 사건, 조직, 개인 또는 현상에 대한 심층적이고 상세한 조사를 수행하여 이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실제로 조사하기 어렵거나 정보가 필요할 경우 특정 상황에서의 경험, 행동, 결과 등을 이해하는데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례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1.🔍주제 선택: 연구하고자 하는 특정 사례나 주제를 선택합니다.
2. 📑자료 수집: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합니다. 이는 문서, 인터뷰, 관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3. ☑️표본 선택: 연구의 범위를 정하고 특정 사례나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택합니다.
4. 🧐자료 분석: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패턴이나 관련성을 찾습니다. 이는 주로 질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5. 📃결과 해석: 분석된 자료를 기반으로 사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결과를 해석합니다.
6. 🧾보고서 작성: 연구의 목적, 방법, 결과를 정리하여 학술 논문이나 보고서 형태로 작성합니다.

사례연구는 특히 복잡하고 맥락이 중요한 상황에서 효과적이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학원 다닐때가 새삼 새록새록 생각나는 방법론이죠😉

 

 

✨세번째는 브레인스토밍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하기 위해 그룹으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동원하는 기술적인 접근 방법이에요.

주로 문제 해결, 새로운 프로젝트 기획, 혹은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브레인스토밍의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1. 규칙 제한 없이 생각: 참여자들은 어떤 아이디어든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고, 비판하지 않아야 합니다.
2. 질보다 양이 중요: 많은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수량에 중점을 둡니다.
3. 상호 작용: 그룹 내에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활발한 상호 작용이 중요합니다.
4. 다양한 관점 수용: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을 가진 참여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여 아이디어 다양성을 유지합니다.
5. 비판 제한: 초기에는 비판을 배제하고 나중에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단계로 나눕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브레인스토밍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마지막으로 AEIOU기법이에요

대학원 생활 초반에 배웠던 기법인데 아직도 새록새록 기억나네요 ㅎㅎ

AEIOU 기법은 환경, 상호 작용, 객체, 사용자, 사용자의 관점 다섯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디자인이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각 알파벳은 특정 측면의 앞글자를 따온것이에요!

 


1. A (활동 - Activities): 목적이 있는 행동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선택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그들이 택하는 특정 행동과 단계는 무엇인지?

2. E (환경 - Environments): 활동이 일어나는 현재 무대를 가리키며 개인적이거나 공적인 공간을 포함해서 전체 컨택스트의 분위기아 기능이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

 

3. I (상호작용 - Interactions): 사람과 사람 혹은 사람과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활동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며 같은 환경 속에서 사람들 사이의 일상적이거나 특졀한 상호작용의 성격은 무엇긴가?

 

4. O (사물 - Objects):  환경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간혹 기능, 의미, 컨텍스트 등의 반경을 통해 복잡하게 사용돠거나 의도치 않은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함

 

5. U (사용자 - User): 행동, 취햐으 욕구와 관련하여 관찰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의미

 

 

오늘은 디자인 방법론중에서 제가 배운 내용중 UX/UI/PM 직무라면 알아야 할 중요하다고 생각한 방법론을 정리해보았는데 어떻기 보셨을지 모르겠네요😆

 

 

 

 

 

 

 

오늘 느낀건

상대에게 장기적으로 독이 되더라도 거짓으로 포장해서 좋은 말을 해주는 사람과 

상대가 지금은 힘들더라도 진심으로 다가가 고통스럽더라도 상대의 성장을 도우려는 사람

 

어느쪽이 상대방에게 필요한 사람일까를 생각했어요

현재 대한민국의 위치가 아직도 자살률이 높은걸로 알고 있어요

그만큼 요즘 새상엔 힘든 사람이 많고 위로가 많이 필요하다는걸 말하는 거겠죠

 

그런 사람들에게 나아가지 못하더라도 지금 그자리에 멈춰 편하게 사는 고여버린 물과 같은 삶을 살게 두는 사람

힘들어도 고통스러운 현실을 마주시켜 흐르는 물과 같은 삶으로 끌고 나오는 사람

 

과연 어느쪽이 착한 사람이고 어느쪽이 나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인생에 정답이 없듯 제공되는 답안은 없으니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이 편하게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럼 다음에 또 봐요👋

반응형